|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
| 2 | 3 | 4 | 5 | 6 | 7 | 8 |
| 9 | 10 | 11 | 12 | 13 | 14 | 15 |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 30 |
- sprintf
- gparted
- intents
- jenkins
- 소캣
- usb2.0
- fprintf
- context
- fscanf
- DMA
- activities
- 디스크 축소
- makefile
- interrupt handler
- 문자형 디바이스 파일
- 멀티프로세싱
- 프레임버퍼
- context switch
- 디스크립터
- socket
- layouts
- 젠킨스
- 스레드
- 속도저하
- pagefile.sys
- memcmp
- 환경 변수
- HDR
- interrupt context
- sscanf
- Today
- Total
do{학습}while
Linux) rootfs란? 본문
rootfs(root file system)이란?

루트 파일 시스템은 운영체제에 필요한 어플리케이션이나 라이브러리와 같은 기본 파일을 담고 있는 저장소입니다.
루트경로('/') 즉 최상위 경로에 담기는 기본적인 파일들을 의미합니다.
rootfs 생성
rootfs을 생성을 위해 buildroot 혹은 yocto와 같은 리눅스 시스템 구축 오픈소스 프레임워크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해당 프레임워크들을 통해 부트로더, 커널, rootfs와 같은 시스템을 위한 패키지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rootfs 구성요소
각각의 루트 파일 시스템마다 다양한 기본 파일이 존재할 수 있습니다.
바이너리 파일(binary files)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파일들이 포함됩니다.
예를 들어, /bin, /sbin, /usr/bin, /usr/sbin 디렉토리에는 리눅스 시스템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들이 위치합니다.
라이브러리 파일(library files)
프로그램이 사용하는 라이브러리 파일들이 포함됩니다.
/lib, /usr/lib 디렉토리에는 공유 라이브러리 파일들이 위치합니다.
디바이스 파일(device files)
하드웨어 디바이스와 관련된 파일들이 포함됩니다.
/dev 디렉토리에는 콘솔, 디스크, 시리얼 포트 등의 디바이스 파일들이 위치합니다.
구성 파일(configuration files)
시스템의 구성과 관련된 파일들이 포함됩니다.
/etc 디렉토리에는 네트워크 설정, 사용자 계정 정보, 서비스 구성 등을 포함한 다양한 설정 파일들이 위치합니다.
임시 파일(temporary files)
임시 파일이나 디렉토리가 포함됩니다.
/tmp 디렉토리에는 임시 파일들이 위치하며, /var/tmp 디렉토리에는 영구적인 임시 파일들이 위치합니다.
사용자 파일(user files)
사용자의 데이터 파일이나 설정 파일들이 포함됩니다.
/home 디렉토리에는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들이 위치합니다.
시스템 관리 명령어(system administration commands)
시스템 관리를 위한 명령어들이 포함됩니다.
예를 들어, /usr/sbin 디렉토리에는 시스템 관리를 위한 명령어들이 위치합니다.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시간을 단축 시켜주는 리눅스 명령어? (1) | 2024.10.30 |
|---|---|
| Linux) 듀얼 부팅 하는 법 (Window 10 + Ubuntu 22.04) (0) | 2024.08.13 |
| Linux) Makefile란? (0) | 2024.04.25 |
| Linux) 시스템 콜(System Call): Process Management (0) | 2024.04.23 |
| Linux) Shell script (0) | 2024.04.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