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layouts
- 문자형 디바이스 파일
- DMA
- 디스크 축소
- 환경 변수
- 멀티프로세싱
- fprintf
- 스레드
- SDK
- interrupt context
- intents
- list
- pagefile.sys
- lifecycle
- fscanf
- 소캣
- makefile
- socket
- jenkins
- sprintf
- interrupt handler
- context
- memcmp
- activities
- HDR
- context switch
- 프레임버퍼
- 젠킨스
- sscanf
- 안드로이드
- Today
- Total
do{학습}while
Git) git(add, commit, push) 에 대하여 본문
오늘은 git을 사용하고 있지만 "git add", "git commit", "git push"는 구체적으로 무엇을 위한 명령어인지 생각해보고 사용하지 않아서 이번 기회에 확실하게 개념을 정리하고자 합니다!
git 구조

git add
git add [기록을 남기고 싶은 파일명]
git add는 add 뒤에 오는 수정된 파일들을 staging area(index area라고도 불림)로 옴기기 위한 명령어입니다.
staging area는 commit 이전에 기록을 남기고 싶은 관련된 파일들을 저장하는 공간입니다.
수정된 파일을 staging area로 옴기는 행위 == staging
git commit
git commit -m "commit 메시지"
commit은 repository(저장소)에 staging area에 저장된 변경된 파일들을 메시지와 함께 저장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git push
git push
git push는 로컬 저장소에서 원격 저장소로 변경 사항을 전송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렇게 된다면 협업을 하는 맴버들이 변경사항을 확인할 수 있게 됩니다.
Example
여러 작업을 수행을 하였습니다. 특정 컴포넌트의 레이아웃을 수정하는 코드를 짰다던가 제대로 동작하지 않았던 코드를 디버깅했다던가 등등 수행을 했다고 가정하겠습니다.
이 상황에서 특정 컴포넌트의 레이아웃을 수정한 내용을 기록하고 싶습니다.
그러면 해당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수정된 파일들을 git add를 통해 선택하게 됩니다.(요때 파일들은 stage area로 이동!)
그리고 git commit을 통해 stage area에 저장된 파일들의 묶음은 "컴포넌트 레이아웃 수정" 메시지와 함께 기록을 남길 수 있습니다.(요때 메시지와 파일 묶음은 repository에 저장되게 됩니다.)
기록을 남겼다 == 버전 생성하였다
'G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git(branch, switch, etc..) (0) | 2024.04.14 |
---|